본문 바로가기

일상

성인 예방접종의 종류, 의료인 예방접종, 임산부 예방접종에 대하여

성인 방접종에 대해서

 

출처 :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 접종표 2019 ver. (2020.09.30 현재 가  문서)

 

주의사

일반인들이 보기에도 알기 쉽도록 말을 쉽게 쓰고, 전문적이고 협한 용은 제외하였습니다.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 접종표의   용을 실은 것이 아니고 중요한 용만 뽑았습니다.

 

목차

  • 성인 방접종의 종류
  • 개별 방접종에  간단한 
  • 임산부의 방접종
  • 의료기관 종사자(의료 포함) 의 방접종

1. 종류

  • 인플루엔자
  • 폐렴사슬알균
  •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 대상포진
  • A 간염
  • B 간염
  • 수두
  • 홍역-볼거리-풍진
  • 인유두종바이러스

2. 개별 

  • 인플루엔자 (=독감 예방접종)

접종  : 모 성인

접종 시기 : 매 1(매년 원인 바이러스가 달라지기 문이다.), 10월에서 11 사이 주로 접종


현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독감 예방접종, 모든 성인은 매년 1회씩 맞아야 합니다. 

저는 저번 주에 근무하는 병원에서 맞게 되었습니다. 부디 많은 분들께서 매년 맞으시길 바랍니다.

 

  • 폐렴사슬알균 예방접종

예방  : 폐, 뇌수막염

접종  : 65  성인, 65 만이라도 만성폐질환만성 폐질환,당뇨, 면역 환의 고위험군

접종 횟수 : 2, 13 , 23 신이 있는데, 두 가지를를 모두 맞는것을 장함.

               두개 신간의 맞는 간격은 최소 1

 

  •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DTP=Td=Tdap)

접종  : 모 성인(19 )

접종 시기 : 10년에 한번

 

 소아표준예방접종 침에 따라 과거에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방접종을 맞은 18 상의 성인은 10년에 한번(1956년 부터는 대부분의 한국인은  방접종을 행하였으므로, 18 상인 경우 10년에 한번 맞으면 된다) 

 

  • 대상포진

접종  : 65  성인

접종 횟수 : 1

 

  • A형 간염

접종  : 모 성인

접종 횟수 : 2(6~18개 간격)

 

  • B형 간염

접종  : 모 성인

접종 횟수 : 3(0,1,6개 간격)

 

  • 수두

접종  : 19~49

접종 횟수 : 2(4~8 간격)

 

  • 홍역-볼거리-풍진(=MMR 예방접종)

접종  : 홍역,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풍진에  면역력(항체, 접종력) 없는 19~49 성인

접종 시기 : 1

 

  •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자궁경부암 바이러스)

접종대상 : 19~29

접종 횟수, 1 접종후 2개  2, 6개  3 접종(가다 )

 

3. 임산부의 방접종

 

연령이 적절하고, 면역의 증거(접종력, 감염력, 항체) 없는 경우, 필요한 방접종의 종류(, 맞아야 )

--> 인플루엔자,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일반적으로 권고되는 준에 의해 맞으면  방접종의 종류(, 선택적으로 맞는 . 맞으면 좋음)

--> A형 간염,형간염 B형 간염,형간염 수막알균 방접종

 

고려할 필요 없는 방접종

--> 폐렴사슬알균, 인유두종 바이러스, 일본뇌염, b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임산부에서 금기인 방접종

--> 대상포진(생백신 금기), 수두(생백신 금기), 홍역-볼거리-풍진(=MMR, 생백신 금기)

 

 

4. 의료기관 종사자(의료 ) 방접종

             

연령이 적절하고, 면역의 증거(접종력, 감염력, 항체) 없는 경우, 필요한 방접종의 종류

--> 인플루엔자,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A 간염, B 간염, 수두, 홍역-볼거리-풍진

 

일반적으로 권고되는 준에 의해 맞으면  방접종의 종류(, 선택적으로 맞는 . 맞으면 좋음)

--> 폐렴사슬알균, 대상포진, 인유두종바이러스, 수막알균, 일본뇌염, b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고려할 필요 없는 방접종

--> 없음

 

의료기 종사자에서 금기인 방접종

--> 없음